
성북청년시민모꼬지 <도서관에서, 우리는 만날거야>
<청년으로 살아가기 Never stop! >
전시 사진
느낌표 자료 | 월곡꿈그림도서관 컬렉션 목록
 |
서울에서 청년하다
류석진,조희정,기현주 | 더가능연구소 | 2021
"그러나 청년 당사자의 정책제안이 바로 정책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청정넷과 청년의회 활동에서 가장 절실했던 것은 청년 참여 확대였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행정이나 시의외화의 협업이었다.
거버넌스가 필요해지는 시점이 된 것이다."
|
 |
로컬에서 청년하다
류석진,조희정,정현미 | 더가능연구소 | 2021
"「청년기본법」이 시행된 지1년여가 지난 지금,
법 효과가 청년에게 미치고 있는지,법이 만들어지기까지 지역 현장에서
청년들은 무엇을 고민하며 어떤 경험을 하고 있었는지,
그래서 앞으로의 과제로 어떤 질문을 던지고 있는지"
|
 |
청년팔이사회
김선기 | 오월의봄 | 2019
"그렇다면 청년운동은 앞으로 어떤 가치들을 의제로 제시해야 할까?
이는 토론을 거쳐 지속적으로 다듬어나가야하는 부분이다.
다만 세대 내의 이질성과 격차,불평등에 대한 의제만큼은 양보해선 안된다."
"우리가 스스로 어떤 ‘청년’담론을 쓸 수 있는지
새롭게 상상해보자.
기성의 ‘청년’담론을 넘어 새로운 ‘청년’담론을 조직할 때
비로소 우리는 ‘탈-청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
요즘 애들 : 최고 학력을 쌓고 제일 많이 일하지만 가장 적게 버는 세대
앤 헬렌 피터슨 | RHK | 2021
"우리는 일자리가, 혹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회사가, 오래갈 것이라 기대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언제든 빚더미의 폭풍에 집어삼켜질 거란
두려움 속에 산다
(…)
그렇게 우리는 불안정에 길들여졌다."
|
 |
요즘 애들, 요즘 어른들
김용섭 | 21세기북스 | 2019
"한국사회의 기성세대, 기업, 정치권에서는 밀레니얼 세대의 중요성과
그들의 힘을 인정해야 한다.
막연한 두려움 대신 이해를 통해
그들로부터 기회를 더 많이 찾아야 한다."
|
[기사] 카드뉴스 <대한민국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청년기본법> 내용보기
[기사] 기자수첩 <‘청년기본법’은 말그대로 ‘기본’에 불과하다> 내용보기
[기사] <청년기본법의 토대 위, ‘청년’이 있는 정책을 꿈꾸다> 내용보기
[기사] <"MZ는 이렇다 저렇다 제발 그만 좀 하세요"…왜냐하면> 내용보기
청년기본법 안내문, 청년의 날 안내문
디지털 아카이브 메인으로 돌아가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