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히 독립적이지도, 그렇다고 의존적일 수도 없는…
아직 존재로서의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한 미성숙한 어른들의 이야기
2009년 중앙일보가 주최한 중앙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한 소설가 김지숙의 첫 작품집이다. 등단작 「스미스」에, 등단 초기에 짧게나마 문단의 지면을 얻어 발표했던 3편을 더해 총 4편의 작품을 실었다. 2010년 언저리에 발표한 작품들이 이제야 한 권의 소설집으로 묶이게 된 데에는 신춘문예를 비롯한 갖가지 문예 등용문을 통과한 신인 작가들이 기성 문단으로 진입하는 확률이 극히 희박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한동안 작품 발표가 뜸했던 작가 김지숙은 2015년 청소년 소설 『비밀 노트』를 펴낸 이후 청소년 문학 작가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김지숙 작가가 기성 문단에 자리 잡지 못한 덕분에 우리는 16년 전 막 신춘문예를 통과했던 신인 작가의 풋풋하고 날선 시각을 통해 당대의 젊은이들이 가진 의식과 일상, 그리고 그들이 처한 시대 상황을 일부나마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이나 그때나 청년은 불안하고 초조한 존재다. 아니, 지금보다 덜 영악한 젊은이들이 각자에게 지워진 짐을 스스로의 몫으로 감당해내려 했다는 점에서 오히려 그때가 더욱 처절했는지도 모른다. 2025년의 청년들은 실질적인 실패를 맛보기도 전에 먼저 좌절을 경험하는 현실에 대해 사회 시스템에 일부 책임을 묻기라도 하지만, 15년 전의 청년들은 심증으로는 불만을 품으면서도 아직은 그것을 공개적으로 토로하기보다는 스스로 감내하는 선택을 했던 것이다. 그들이 바로 이 책 『스미스』의 주인공들이다.
이 작품집에 실린 네 편의 소설은 하나같이 속도감 있게 사건이 진행된다. 게다가 작품 속 인물들은 그리 강단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 자존심과 개성이 강하고 순응할 줄 몰라서 사건이 심화될수록 어디로 튈지 모르는 초조함을 자아낸다. 빠른 이야기 전개에 예측하기 힘든 진행, 이 두 가지만으로도 독자를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만약 작품 속의 조금은 ‘촌스러운’ 인물들에게서 공감을 느낀다면, 독자는 꽉 막힌 현실을 정직하게 돌파하려 했던 세대의 마지막 일원이었을 터. 15년 전의 나는 과연 어떤 선택을 했는지, 『스미스』라는 문을 통해 그때로 잠시 돌아가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