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 최고의 에세이스트가 쓰는 모성과 싱글맘 되기의 경험
수전 손택, 존 디디온에 비견되며 힘 있는 사유, 깊은 감정, 강렬한 문장으로 동시대 가장 사랑받는 에세이스트로 자리매김한 레슬리 제이미슨의 신작 『모든 아름다움은 이미 때 묻은 것』이 출간되었다. 레슬리 제이미슨은 한국에도 소개된 세 권의 전작에서 고통에 관한 글쓰기와 에세이의 윤리를 탐구하고, 자신의 알코올중독과 회복 경험을 낱낱이 탐색하며 특유의 통찰력과 지성, 엄밀하고 성실한 글쓰기로 탄탄한 독자층을 형성해온 작가다. 신작에서 제이미슨이 뛰어든 영역은 모성과 싱글맘 되기라는 가장 내밀한 경험에 대한 탐구다.
책 전체를 뒤덮고 있는 압도적인 감정은 모성의 양가적 기쁨이다. 복잡하게 얽힌 감정들과 하나로 정의 내려지지 않는 다층적인 경험을 정확하게 바라보려고 집요하고 철저하게 파고드는 제이미슨 특유의 글쓰기가 빛을 발하기에 이보다 더 맞춤한 주제는 없을 것이다. 제이미슨은 엄마이자 글 쓰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일의 고단함과 곤란함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도 아이를 향한 지독한 사랑을 숨김없이 고백하고, 아이에게 주고 싶은 ‘행복한 가정’의 모습에 담긴 허위를 직시하면서도 그것을 향한 욕망을 포기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바라본다.
레슬리 제이미슨의 글쓰기가 가진 가장 큰 매력이자 힘은 글의 대상이 무엇이건 정확하게 쓰고자 하는 끈질김과 성실함, 그리고 철저하다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솔직함이다. 이런 강력한 솔직함의 힘은 『모든 아름다움은 이미 때 묻은 것』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된다. 책은 남편과 별거를 결정하고 13개월 난 아기와 함께 단기 임대 원룸에 들어서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이어지는 페이지들에서 제이미슨은 아이에 대한 소유욕에 가까울 정도의 사랑, 좋은 엄마가 되고자 하는 욕망, 그러면서도 ‘개인’으로서 존재하고 싶은 욕망, 양육이 예술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증거를 찾으려는 절박함, 이 모든 감정을 해부하듯 자세하게 들여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