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열기
닫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통합도서관

검색창 열기
성북구립도서관 통합검색 영역
위로 넘기기 아래로 넘기기
성북도서관 페이스북 성북도서관 티스토리

주메뉴

주메뉴

도서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 존 S. 앨런 지음 ; 이계순 옮김

사회과학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 존 S. 앨런 지음 ; 이계순 옮김 표지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 존 S. 앨런 지음 ; 이계순 옮김 상세정보
발행사항 서울 : 반비, 2019
형태사항 367 p. ; 20 cm
표준부호 ISBN: 9791189198633 03300: \18500듀이십진분류법: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1.9, 392.36 23
마크보기 MARC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 존 S. 앨런 지음 ; 이계순 옮김 QR코드
상세정보
NAVER 책검색 NAVER 제공
집과 인간이 맺어온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관계를 밝힌다! 인간은 어떻게 집에서 살도록 진화했으며 인간이 집에서 느끼는 편안함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간 주거 문제를 다룬 책들이 대부분 건축가의 입장에서, 사회학의 관점에서 집과 인간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물이었다면,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는 앞서 이루어진 논의들에 더해, 과학의 눈을 도입해 집의 본질을 추적한다. 신경인류학자 존 S. 앨런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신경과학과 고인류학 연구의 결과물들을 토대로 삼아 집의 진화적 뿌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앨런은 현대 사회의 주거 이슈를 이해하기 위해 경제학, 심리학, 신경과학을 종합적으로 아우른다. 먼저 경제학자 로버트 실러와 조지 애컬로프가 논한 ‘야성적 충동’ 개념, 그리고 뇌의 의사결정 시스템에 대한 신경경제학 연구를 통해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합리적 판단이 실제로는 잘 작동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문화적 요인이 가세한다. ‘집 소유권은 좋은 것이다.’라는 일종의 이념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이것이 버블 당시 어떻게 투자 위험을 과소평가하게 만들어서 많은 이들을 약탈적 금융상품의 희생양이 되게 했는지 살핀다.
소장정보
어린왕자 소장정보
대출상태 청구기호 등록번호 반납예정일 자료실 선택
대출가능
(비치자료)
381.9-앨294ㅈ EA0000121663 [성북]종합자료실
  • 도서예약 : 대출중인 도서에 한하여 예약하는 서비스
  • 상호대차 : 성북구 내 다른 도서관소장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 무인예약 : 지하철 등에서 도서관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 무인예약 신청자료는 예약, 상호대차, 무인예약 신청이 불가합니다.
  • 고려대역, 석계역의 경우 A4사이즈를 초과하는 너비의 단행본, 그림책, 특별판형본등의 도서는 투입이 불가하오니 대출 및 반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연령별 대출선호도 정보
  • 0건

    10대미만

  • 0건

    10대

  • 0건

    20대

  • 0건

    30대

  • 0건

    40대

  • 0건

    50대

  • 0건

    60대이상

100% 80% 60% 40% 20% 0%
태그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