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열기
닫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서경로꿈마루도서관

성북구통합도서관 바로가기
성북도서관 페이스북 성북도서관 티스토리

주메뉴

[6월 사서추천도서]세계를 움직인 열 가지 프레임  : 현대 문명의 본질과 허상을 단숨에 꿰뚫는 세계사 표지
제 목 [6월 사서추천도서]세계를 움직인 열 가지 프레임 : 현대 문명의 본질과 허상을 단숨에 꿰뚫는 세계사
저 자 수바드라 다스 지음 ; 장한라 옮김
발행처 북하우스
발행년도 2024
청구기호 909-다57ㅅ
추천년월 2025,06
조회수 136

 법과 교육, 문자와 예술은 우리 사회를 이롭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책의 목차에서 언급했듯 <구의 말도 그대로 믿지 말라’, ‘아는 것이 힘이다’, ‘시간은 돈이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 이러한 문구들은 모든 곳에서 이롭게 작용한다. 하지만 이 이로운 역할을 하는 문구들이 과연 과거에 어떤 식으로 출몰했는지 그리고 어떤 식으로 권력에 작용했는지 보여줄 것이다.

 

 대표적으로 시간은 금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모든 생물은 영원한 삶을 가지지 못하고 각각의 시간이 정해져있으므로 시간을 잘 활용해야 한다라는 뜻이다. 단순히 말하면 시간은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이 책은 역사를 통해 시간은 근대화 당시 서구권의 권력을 도와주는 하나의 도구로 보는 입장과 더불어 시간의 덫이라고 표현한다.

 

 실제 근대화에선 시간은 돈이다라는 인식이 있었다. 산업화에 돌입한 서구는 노동력을 중요시했다. 그래서 나타난 것이 바로 프레더릭 윈즐로 테일러의 과학적 경영이다. 테일러는 아주 까다롭게 각 개인의 업무 수행을 측정했다. 극대의 효율성을 기반으로 한 그의 경영은 과학적 경영의 아버지라는 호칭이 붙여졌으며, 이 이론은 다양한 공장에 적용이 됐고 엄청난 노동 착취로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 결과는 식민화된 지역 전반으로 나타났으며 노동자들 간에 계급이 형성이 되었고, 기업가와 노동자의 분열을 초래했다

 

 작가는 시간은 금이다라는 의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간의 덫이라고 설명을 했다. 시간을 단순 돈으로 환산하는 시간의 덫을 경계하라는 뜻이다. 작가는 각 개인의 삶에서 각자에게 맞는 시간을 투자하며, 자신의 행복할 수 있는 시간을 선택하라고 한다.

 

 이 책은 기존의 가지고 있던 신념을 뒤집고 재해석하면서 다양한 역사 관점을 얻을 수 있게 도와주며, 저러한 문구를 단순히 이롭다고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야 하며, 이용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자신의 기존 신념을 무너뜨리고 다시 재정의 하면서 동시에 역사학적인 관점에서 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이 책을 추천한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대체 왜 취미생활, 친구들, 가족에게 시간을 쏟아야 하지? 왜 파티에 가거나, 일생에 한 번쯤 가볼 만한 세계여행을 떠나야 하지? 귀중한 일 분 일 초를 차곡차곡 모으면 곧바로 은행 계좌로 들어가는데, 정말이지, 대체 왜 일이 아닌 다른 황돌을 해야하지?

시나리오야 어떻든, 이 모든 것들이 우리 스스로 만든 덫이라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지내오는 동안 우리는 시간을 놓치고 말았다.(P228~229)

 

 

목차
  • 들어가는 말

    1. 누구의 말도 그대로 믿지 말라: 과학
    Nullius in verba
    2. 아는 것이 힘이다: 교육
    Knowledge is power
    3. 펜은 칼보다 강하다: 문자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4. 정의의 여신은 눈을 가리고 있다: 법
    Justice is blind
    5. 민중에게 권력을: 민주주의
    Power to the people
    6. 시간은 돈이다: 시간
    Time is money
    7. 국가는 당신을 원한다: 국민
    Your country needs you
    8. 예술을 위한 예술: 예술
    Art for art’s sake
    9. 죽음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 죽음
    Death is the great equalizer
    10.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공동선
    We’re all in this together

    나오는 말
    감사의 말
    참고문헌

 

 

작가소개
 
-저자 : 수바드라 다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과학사와 철학사를 전공했고, 동 대학교 박물관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과학적 인종주의와 우생학의 역사가 오늘날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연구한다. 팟캐스트, TV, 라디오 등에서 대중과 활발히 접촉하며, 권력이 조작하고 숨긴 역사를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첫 책 『세계를 움직인 열 가지 프레임』은 세계사를 연대, 사건, 인물과 같은 기존의 주제가 아닌 개념과 생각을 중심으로 풀어내며 역사 분야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서구 중심주의'라는 그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진부하고 낡은 것이라 간주되던 메시지를 '프레임'과 연관시키며, 서구 세계가 만든 거대한 억압과 착취의 구조가 역사에, 그리고 우리 머릿속에 얼마나 깊이 각인되어 있는지 통렬하게 밝혀내어 찬사를 받았다.
 
 
이전글
[6월 사서추천도사]아이덴티티 : 공유된 정체성이 만드는 삶의 대전환
다음글
투명인간 : 성석제 장편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