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열기
닫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성북정보도서관

성북구통합도서관 바로가기
성북도서관 페이스북 성북도서관 티스토리

주메뉴

주메뉴

다양하다는 것 표지
제 목 다양하다는 것
저 자 홍승희 글 ; 오인아 그림
발행처 장수하늘소
발행년도 2012
청구기호 340.22-홍57ㄷ=2
추천년월 2025,03
조회수 46





 

 

이 책은 초등 중.저학년(1~4학년)을 대상으로 한 초등 사회 분야의 교양 도서입니다. 이 책은 도서출판 장수하늘소의 '초등학생이 꼭 만나야 할 민주사회 이야기' 시리즈의 여덟 번째 책입니다. 열린 생각이 왜 필요한지, 그것이 민주사회를 만드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린이들과 함께 생각해 보려고 마련되었습니다. 사람마다 생김새가 다르듯, 생각과 문화도 제각각입니다. 이처럼 나와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문화를 받아들여 조화를 이루는 것이 성숙한 민주시민의 자세입니다. 나와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 나와 다른 것은 짓누르는 경쟁적인 사회 문화가 아이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져 집단따돌림과 폭력적 학교 문화가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요?

 

수백만 가지 색깔을 지닌 다양한 사람들의 세상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람들마다 생김새, 피부색, 문화, 종교, 사상이 각기 다릅니다. 수백만 가지 색깔을 지닌 다양한 사람들이 저마다 개성을 발휘하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살아가는 가운데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나와는 다른 사람들을 편견 없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나라는 어떠한가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이 공공연히 벌어지고,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따돌림을 당하기 일쑤입니다. 다른 민족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에 큰 거부감을 보이거나, 잘 알지도 모른 채 외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와 생각이나 행동이 다른 사람은 무시하거나 적대시합니다. 나와 다름을 ‘차이’로 인정하기보다는 ‘차별’하는 경우를 흔히 봅니다.
자기 생각이나 살아온 방식만 옳고, 남의 생각이나 사상, 생존을 위한 노력은 위험하거나 사회를 어지럽히는 행위라고 일방적으로 매도합니다. 생각이 다른 어른들이 패를 갈라 서로 손가락질해 대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는 귀를 막아 버립니다. 말이 통하지 않으면 힘으로 상대를 제압하려 듭니다.
이 같은 잘못된 어른들의 문화를 한 치도 다름없이 따라하는 것이 바로 어린이 세상입니다. 힘이 센 아이는 힘이 약한 아이를 때리고, 피부색이나 생김새가 다른 아이나 놀림 받거나 차별 당하고, 생각이나 행동이 다른 아이는 따돌림 당합니다. 이처럼 내 편, 네 편을 나누고, 오로지 내 생각과 사고방식만 옳다고 생각하는 사회에서는 다채로운 수채화가 나오기 어렵습니다.
오로지 하나의 생각, 하나의 방식만이 옳은 것으로 인정된다면, 이와 다른 생각이나 방식은 잘못된 것으로 치부됩니다. 이는 나와 다른 것을 적대시하고 잘못으로 여겨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고 나아가 사회 공동체를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유대인을 적으로 규정해 끔찍한 인종 학살을 자행했던 나치스나, 동족 간 전쟁을 낳았던 6.25전쟁, 분쟁이 끊이지 않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 지금도 끊임없이 벌어지는 다른 종교 사이의 전쟁과 다른 문화 사이의 전쟁을 보면 이 같은 닫힌 생각이 얼마나 큰 비극을 낳는지를 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대한민국 대표 효녀를 법정에 세우다!
이 책에서는 심청이 ‘막심 불효죄’로 고소당해 법정에 섭니다. 검사는 심청이가 막심한 불효 죄를 저지른 불효녀라며 몰아세웁니다. 세계적인 효녀 심청이가 불효녀라니요?
이 책에서는 심청이 과연 효심이 지극한 효녀인지, 불효죄를 저지른 불효녀인지 가리기 위해 법정에 섭니다. 여러분이 배심원이라면, 어느 쪽에 한 표를 던지고 싶은가요?
우리는 그동안 아무런 의심 없이 심청을 효녀 자리에 올려 떠받들어 왔습니다. 하지만 보는 눈에 따라서 심청은 효녀일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사실을 두고도 사람들마다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나와는 다른 남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데서 민주주의의 싹이 틉니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아무 의심 없이 받아들여 왔던 많은 생각들에 대해 문제제기를 합니다.
우리는 흔히 콜럼버스를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개척자로 알고 있지만, 그가 신대륙에 상륙해서 벌인 짓은 과연 그만한 평가를 받을만한 인물인지를 고민하게 합니다. 그런가 하면 동네 가게를 모두 사들여 세상에서 가장 큰 부자가 될 줄 알았던 억만금 씨는 과연 어떻게 될까요? 지금은 위대한 과학자로 추앙받는 갈릴레이가, 그가 살던 시절 종교재판으로 받았던 죄목은 무엇이었을까요?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세상의 많은 일들을 어떤 눈으로 바라보아야 할지,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다시 한 번 고민하게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우연히 이슬람교도 할아버지의 집에 가게 된 아이가 그동안 자신이 가져 왔던 그 종교와 문화에 대한 맹목적인 불신을 씻어내게 되는 걸 보게 될 것이고, 갈등과 다툼을 없애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모아 합의를 이끌어 낸 이천년 전 신라시대의 화백제도에서 우리는 조상들의 탁월한 지혜를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함을 품는 거야말로 민주주의를 가슴으로 받아들이는 것!
열린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나와 다른 남의 생각과 방식을 포용하는 것이 민주 시민의 기본자세라 할 것입니다.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더 발전된 우리 문화가 꽃피우고, 다양한 생각을 통해 이전보다 더 참신한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습니다. 역사상 많은 나라들은 바로 이런 과정을 통해 강대국으로 발돋움했습니다.
종교와 문화가, 인종과 풍속이, 사상과 취향이 나와 다르다고 해서 거부하고 차별하는 것은 올바른 민주시민의 자세가 아닙니다. 자기 생각이나 살아온 방식만 옳고, 남의 생각이나 사상, 생존을 위한 노력은 위험하네 사회를 망치네 하며 적대시하고 못 살게 구는 행위야말로 사회를 어지럽히고 사람의 가치를 업신여겨 결국은 사회 공동체를 파괴하는 결과를 빚게 되지요. 열린 마음으로 나와 다른 존재를 받아들이고 다양함을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이 진정한 민주시민이고 그런 사람들이 사는 사회가 바로 민주사회랍니다.
사람마다, 문화마다, 종교마다, 사상마다 다른 차이를 인정하고, 그것을 융합한다면 더 발전된 세상이 열릴 것입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한 땀씩 수를 놓으면 아름다운 자수 작품이 완성되듯이, 사람들의 다양함을 모아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전글
찬다 삼촌
다음글
스무살, 인도로 철퍼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