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열기
닫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달빛마루도서관

성북구통합도서관 바로가기
성북도서관 페이스북 성북도서관 티스토리

주메뉴

주메뉴

로마 이야기 표지
제 목 로마 이야기
저 자 줌파 라히리 지음 ; 이승수 옮김
발행처 마음산책
발행년도 2023
청구기호 883-라98로
추천년월 2023,11
조회수 135


 

줌파 라히리의 4년 만의 신작 소설집
이름, 국적, 나이, 성별…… 주어진 정체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첫 소설집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던 작가, 줌파 라히리의 4년 만의 신작 소설집 『로마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줌파 라히리가 이탈리아어로 쓴 이번 작품에는 로마를 배경으로 한 아홉 편의 단편소설이 담겨 있다. 산문집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를 시작으로 『책이 입은 옷』, 소설집 『내가 있는 곳』 등을 이탈리아어로 썼던 줌파 라히리는, 『로마 이야기』를 통해 이탈리아어에 대한 더욱 깊어진 이해와 함께 그동안 천착해온 경계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끈질긴 질문을 던진다. 줌파 라히리는 『로마 이야기』의 영어 번역에도 직접 참여했고, 미국판은 국내 번역본과 같은 날인 10월 10일에 동시 출간되었다.
인도계 미국인 작가 줌파 라히리에게 이방인이라는 감각은 소설의 중심 테마였다. 그는 첫 소설집인 『축복받은 집』에서부터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존재가 느끼는 미묘한 불안을 그려왔다. 『로마 이야기』에서도 이방인성에 대한 탐구는 계속되며, 특히 영어가 아닌 이탈리아어라는 새로운 언어를 쓰며 정체성을 발명했던 경험은 이방인성에 대한 풍부한 통찰로 이어진다. 줌파 라히리는 『로마 이야기』를 통해 인간이 날 때부터 주어진 정체성이란 유동적이며, 인간은 모두 불가해한 세계를 떠도는 이방인이라고 묘사한다.
소설은 줌파 라히리가 수년간 거주했던 로마를 배경으로 펼쳐진다. 유구한 역사를 지닌 로마는 유적으로 가득한 도시다. 두터운 역사로 쌓아올린 곳에서도 생생한 ‘지금’의 삶이 펼쳐지고 있듯이, 소설 속 인물들은 태생적으로 지닌 이름, 국적, 성별을 넘어 새로운 정체성을 찾기 위해 분투한다.

살아남는 법을 배우려면 얼마나 오래 살아야 할까?
몇 번이나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을까?
나는 여자 친구들과 저녁 식사를 할 계획이다. 광장 위로 맑은 하늘이 펼쳐진다.
“참 엿같은 도시야.” 우리 중 한 명이 침묵을 깨고 말한다. “하지만 너무나 아름다워.”
_『로마 이야기』, 「단테 알리기에리」에서

인간은 모두 이방인이다
미묘한 차별의 풍경과 경계에 선 인물들


줌파 라히리의 인물들은 유동하는 정체성 때문에 불안을 느낀다. 불안 앞에 놓인 인물들은 타자를 배제하면서 내집단을 강화하거나 세계 바깥을 유랑한다. 『로마 이야기』는 이방인이라는 정서의 내부와 외부를 입체적으로 포착한다.
소설에는 로마로 이주해 온 이민자들이 주로 화자로 등장한다. 그들의 시선을 통해서 은근하고도 집요하게 행해지는 차별의 풍경이 그려진다. 피부색이 다른 이민자 여성이 식당에서 화장실에 가려고 하자 소녀가 발을 쭉 뻗고 앉아서 길을 막고(「재회」), 초등학교 보조 교사로 일하는 이주자 여성에게 “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내용의 종이쪽지가 전해진다(「쪽지」). 고국에서의 전쟁을 피해 이주해 온 난민은 힘겹게 얻은 집과 가족을 지키려다가 주위 이웃들의 핍박으로 인해 반강제적으로 쫓겨난다(「밝은 집」).
소설은 차별의 피해자뿐 아니라 가해자도 그려내면서 서사를 복합적으로 확장한다. 「P의 파티」의 화자인 중년 남성 작가는 로마에서 태어나 쭉 살아온 로마 사람이다. 그는 외국인을 그저 대상화하며 바라보는 편견 어린 인물이지만, 관심이 있는 외국인 여성에게는 이방인처럼 소외당한다. 줌파 라히리는 인간이라는 존재는 결국 누구나 이방인일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하면서 이름 붙여진 정체성 너머의 인간 조건을 탐구한다.

그들은 내가 속한 그룹과 너무나 달랐다. 즉 로마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 걱정스러운 로마의 쇠퇴를 한탄하면서도 절대 로마를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과 달랐다. 서른 살에 단순히 사는 동네를 바꾸고, 새로운 약국에 가고, 새로운 신문 가판대에서 신문을 사고, 새로운 바의 테이블에 앉아 있는 것이 하나의 출발, 하나의 큰 움직임, 하나의 일탈을 의미하는 사람들과 말이다.
_『로마 이야기』, 「P의 파티」에서

줌파 라히리의 시선으로 재구성한 로마
한 폭의 프레스코화처럼 펼쳐지는 이야기


『로마 이야기』에 담긴 아홉 편의 소설들은 로마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로마라는 도시의 심장 박동을 공유한다. 같은 도시를 무대로 펼쳐지는 이야기들은 한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이 다른 작품에서도 스쳐 지나간다는 상상을 하게 만든다. 「택배 수취」의 이주자 여성이 타고 있는 버스에 「경계」에 나오는 가족의 어머니가 타고 있을 수 있고, 「쪽지」에서 외국 출신 여성에게 폭력적인 내용이 담긴 종이쪽지를 주는 초등학생이 「계단」의 불량한 청소년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런 상상이 가능한 이유는 소설에서 장소의 지명과 인물들의 이름, 국적, 나이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의도적으로 배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장소는 실제 로마의 지명이 아닌 ‘계단’, ‘광장’, ‘거리’ 등으로 표현된다. 등장인물들은 이름이라는 고유명사가 아닌 ‘어머니’, ‘외국인’, ‘형제’와 같은 보통명사로 지칭된다. 구체적인 정보가 사라지면서 장소와 장소, 인물과 인물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고, 아홉 편의 단편소설은 로마라는 도시를 한 폭의 프레스코화처럼 재구성한다. 또한 소설 속 인물들의 이야기는 곧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된다.

라히리는 이름이 가지는 무게와 중요성을 알고 있다. 이름은 규정하고 구체화한다. 이름은 우리의 태생이나 모국어처럼 부과된다. 라히리는 이름이 부여하는 정체성 너머에 있는 개인의 또 다른 본질에 관심을 가진다. 이름을 제거하는 것은 라히리에게 어떤 무게에서 자유로워지는 걸 의미한다. 이름이 없으면 경계가 허물어지고 의미가 확장된다.
_「옮긴이의 말」에서

『로마 이야기』는 ‘단편소설의 대가’라는 수식어를 얻은 줌파 라히리답게 지극히 명징하면서도 아름다운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경계를 오가며 자신만의 언어를 탐구하는 작가가 보여주는 세계를 동시대에 읽을 수 있다는 건 축복이다. “매혹적인 폐허와 생동하는 삶으로 가득한 로마라는 도시와 닮아 있는(〈보그〉)” 이번 소설집은 줌파 라히리의 신작을 기다려온 독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다.

이전글
로터스 택시에는 특별한 손님이 탑니다
다음글
무연사회